불은 강한 바람을 타고 아파트 위아래로 번졌다. 당일 오전 7시부터 울산에는 강풍주의보가 발효된 상태였다.
불티가 바람을 타고 날아가면서 왕복 9차로인 삼산로 건너편에 있는 대형마트 옥상에 불이 옮아붙기도 했다.
불이 나자 아파트에 거주하는 주민을 비롯해 인근 주민까지 수백명이 대피하는 등 일대는 아수라장이 됐다.
물을 적신 수건을 입에 대고 대피하기도 했고, 맨발로 집을 뛰쳐나온 사람도 보였다
밤새 꺼지지 않은 울산 아파트 화재
(울산=연합뉴스) 김용태 기자 = 8일 오후 울산시 남구 한 주상복합아파트에서 난 화재가 9일 오전까지 꺼지지 않고 있다. 2020.10.9 yongtae@yna.co.kr
한 주민은 "아이들을 먼저 대피시켰는데 밖으로 내려와 보니 안 보인다"며 애타게 찾아다니기도 했다.
14층에 거주하는 50대 주민은 "소방관들 8명 정도가 '타는 냄새가 난다'는 신고를 받고 와서 13층부터 아래로 내려가면서 확인 작업을 했다"며 "그러던 중에 갑자기 13층에서 위로 불길이 치솟았고, 창문이 '펑펑' 하면서 깨지고 거실과 침실에 불이 붙었다"고 말했다.
그는 "소화기로 불을 끄면서 아내와 처제를 옥상으로 대피시켰는데, 불이 붙고 연기가 가득 차는 데도 스프링클러가 곧바로 터지지 않더니 잠시 후 작동하는 것을 확인하고 건물 밖으로 나왔다"고 덧붙였다.
소방당국은 오후 11시 44분 인근 6개 소방관서 소방력을 모두 동원하는 '대응 2단계'를 발령했다.
화재 초기 고가사다리차를 동원해 진화에 나섰지만, 강한 바람에다 사다리차가 닿지 않은 고층부로 불이 번지는 등의 문제로 화재 진압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후 소방대원들이 아파트 개별 호실에 일일이 들어가 불을 끄면서 인명 수색과 구조를 하는 방식으로 대응했다.
화재가 발생한 지 약 1시간 30분이 지난 9일 0시 40분께 건물 외부에서는 노란 불꽃이 잘 보이지 않을 정도로 불길이 잡혔다.
그러나 아침까지 몇 차례나 화염이 건물 밖으로 뿜어져 나와 번지다가 소강상태를 보이는 일이 반복됐다.
울산 남구 주상복합아파트 화재현장 점검
(서울=연합뉴스) 정문호 소방청장(오른쪽 네 번째)과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오른쪽 세 번째)이 9일 오전 울산 남구 주상복합아파트 화재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2020.10.9 [소방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피난 공간이 마련된 15층과 28층, 옥상 등지로 피신했던 주민들 77명은 모두 안전하게 구조됐다.
구조되거나 자력으로 대피한 91명이 병원으로 옮겨졌는데, 모두 단순 연기를 흡입하거나 찰과상을 입는 수준으로 중상자는 없다고 소방당국은 밝혔다.
화재로 아파트를 나온 이재민 170여 명은 울산시가 마련한 남구의 한 비즈니스호텔로 이동해 숙식을 해결하고 있다.
소방당국은 오전 6시 아파트 외벽의 숨은 불씨가 되살아나자 인근 8개 시도에 고가사다리차 등 특수장비 동원령을 발령했다.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이 이날 오전 화재 현장을 찾아 진화와 인명구조 상황을 살폈으며, 정문호 소방청장도 이날 오전 2시께 현장으로 이동해 직접 화재 진압을 지휘했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오전 0시 30분께부터 현장에서 밤을 새우며, 인명 구조가 최우선이라며 소방대원들을 독려했다.
날이 밝자 소방헬기까지 투입해 불길 잡기에 나섰다.
고층부에 부는 바람으로 31∼33층에 화염이 쉽게 가라앉지 않았고, 소방대원 200여명은 피난층에서 대기하면서 서로 교대하면서 불이 난 곳을 찾아 물을 뿌렸다.
소방당국은 낮 12시 25분께 초진을 완료했다.
불이 난 지 약 13시간 30분 만이다. 초진은 불길을 통제할 수 있고, 연소 확대 우려가 없는 단계를 말한다.
소방당국은 불티가 되살아나지 않도록 잔불을 정리하고 있다.
이날 진화 작업에는 소방대원 930명을 포함한 1천여 명이 투입됐다. 사다리차 등 장비도 148대나 동원됐다.